본문 바로가기

학습

한자 써서 찾기 방법


요즘에는 한자를 써서 찾는 방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가장 빠르게 사전 내용을 찾기 가능하기 때문인데요. 옥편을 사용할 줄 몰라도 상관 없어요. 한문 공부를 게을리 했어도 상관 없습니다. 누구나 모르는 한자를 발견하면 이에 대한 사전 정보를 풍부하게 얻을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옥편에 익숙한 분들을 위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가장 빠른 한자 써서 찾기 안내.

한자를 찾는 다양한 방법

이번 시간에 알려드릴 문자의 모양을 그리거나 써서 찾는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존재합니다. "한글 음", "총 획수", "부수", "모양자"를 가지고 한문 검색 또는 찾기 가능하죠. 여기에 더하여 고사성어나 단어를 찾는 경우에는 찾고자 하는 내용에 속하는 단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옥편 활용을 잘 하셨던 분이라면 후자의 방법들이 더 익숙할 수도 있어요.

 

 

그리거나 써서 찾는 방법

그럼 본격적으로 한자 써서 찾기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필기인식기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되는데요. 이것은 "네이버 사전" 사이트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사이트에 접속하면 메뉴에 있는 [한자]를 클릭해 주세요.

 

 

 

한문사전 페이지가 열렸습니다. 처음 화면에는 저처럼 필기인식기가 나타나지 않을 텐데요. 그러한 경우에는 검색창 안에 있는 "연필" 모양의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돋보기" 모양의 검색 버튼 옆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마우스로 한자를 써서 찾을 수 있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전 사이트에 접속했다면 손가락으로 써서 한자 찾기 할 수 있습니다. 찾고자 하는 문자의 모양을 다 그리면 바로 옆에 유사한 문자가 20개 나타나는데요. 여기서 찾으려고 했던 한자를 선택해주세요.



한자를 선택하면 검색창에 선택한 문자가 입력이 됩니다. 그럼 검색창에 자동완성 기능으로 관련 있는 문자와 단어, 고사성어가 나타나는데요. 여기서 알아보고 싶은 것을 골라도 됩니다. 그냥 돋보기 버튼을 눌러서 검색해도 되고요. 검색 버튼을 누르면 관련 있는 음, 한문, 단어, 성어, 뜻풀이, 부수, 모양자, 학습정보가 나타납니다.

 


저는 "한수 한, 한나라 한"이라는 문자를 선택했습니다. 이 문자에 대한 여러 가지 사전 정보가 나타나는데요. 부수, 모양자, 장단음, 총획수, 유니코드, 난이도, 대법원인명용 여부, 뜻, 획순, 학습정보, 관련 단어 및 성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간단하게 문자의 모양을 써서 한자 찾기를 진행해 보았는데요. 몇 번만 진행해보면 원하는 정보를 1분 이내에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문 학습에 도움이 되는 내용도 있으니 한문공부를 할 때 활용해 보세요.